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명조: 워더링 웨이브/평가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합의사항
[ 펼치기 · 접기 ]
팬덤에 관한 비판과 옹호를 위한 서술을 위해서는 아래의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근거 자료를 기재하여야 한다.
근거 신뢰성 순위
7순위 이상의 근거 자료. 단, 1순위의 원문을 제외한다.
3곳 이상에서의
인터넷 인기글
. 여기서 '3곳'이란 인터넷 인기글 관련 규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세는 것으로 한다.
1의 근거가 기재되지 아니하였다거나 1의 어느 하나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다는 이유로 편집 분쟁이 발생한 경우, 서술 고정 시점은 삭제로 한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PC 및 콘솔 최적화 === {{{#!folding 해결된 사항들 [ 펼치기 · 접기 ] * 120 프레임 설정(제한적으로 해결) - 마지막 CBT까지도 있었다가 정식출시당시에는 60프레임 설정만 되도록 바뀌었다. 이후 1.2패치로 재추가되었다. * LOD등 세부설정 - 출시 직후 며칠간은 최상옵에서조차 시야 거리와 [[LOD]]값을 칼질하여 비판이 있었다. 1주정도 흐르자 적당한 수준으로 패치되었다. * DirectX 12 미지원 - 1.2패치이후로 기본값이 DX12로 바뀌었으며, 런처에서 DX11을 선택할 수 있다. * DLSS FG 미지원 - 2.1패치이후로 레이트레이싱과 함께 추가되었다. * 레이트레이싱 미지원(제한적으로 해결) - 2.1 업데이트로 추가되었을 때는 DLSS FG 미지원 GPU(GeForce 30 이전 세대 NVIDIA GPU및 하드웨어 레이트레이싱을 지원하는 타사 GPU들)들은 성능과 관계없이 RTX 옵션이 일괄적으로 막혀있었으나 이후 2.3때 추가되었다. 하지만 기술적으로 충분히 가능한 GPU중 RX 6600 등은 사양 이슈로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긴 하나 '비권장'하는게 아닌 아예 '미지원'이다. }}} * '''CPU 최적화''' 60급 GPU가 QHD에서조차 CPU 병목이 걸릴 만큼 CPU/캐시/메모리 병목이 극심해 라이젠 X3D CPU 없이는 120프레임 사용에 심각한 지장이 있다. 하위1% 또한 이전의 조금만 움직여도 30~40프레임씩 찍는 경우보다 훨씬 나아졌달 뿐이지 심심찮게 50~60프레임을 찍는 모습을 보여준다. * '''GPU 최적화''' 하위옵션/저사양에서의 GPU 최적화는 양호하지만, 상위옵션/고사양으로 갈 수록 최적화가 거의 바닥을 뚫고 들어가는 수준이다. 그래픽 품질 대비 요구사양이 심각하게 높아 RT 없이도 4K60 풀옵은 5070, RT를 켠 상태에서의 100프레임 이상 유지는 5090이 필요하다. * '''RDNA계열 GPU''' 라데온, 그중에서도 RDNA계열과 상성이 매우 안좋은편이다.[* PC는 아니지만 1.0버전 오픈후 며칠동안 RDNA 기반 GPU를 탑재한 엑시노스 기기들의 ANGLE 드라이버 관련해서 오류가 있기도 했다.] 아직도 FSR 2.X를 FSR 1.0의 플러그인을 통해 구현하는 방식이라 게임내에서 FSR기능을 사용할 때 PC, 모바일 할것 없이 원본 해상도 조절이 불가능하며[* 보통의 게임에선 품질(퀄리티), 균형(밸런스), 성능(퍼포먼스)로 분류되는 그것이다.] 단순히 지원을 아예 하지 않았다면 어느 정도는 납득이 가능했겠으나 On Off만 가능한 식으로 구색만 갖춘 식으로 지원할 뿐이며 가장 큰 문제는 콜라보 제품으로 라데온 그래픽카드를 내놓았는데 제품 박스에는 타 제품군들의 홍보용 문구인 레이트레이싱, FSR 3가 그대로 적혀있다.[* 레이트레이싱의 경우 2.3부터 지원해 문제가 사라지긴 했으나 그전까진 미지원에 DLSS FG 지원 GPU에만 우선적으로 적용했다. 즉 명조가 어떤 그래픽 설정을 지원/미지원하는지 등을 모르는 소비자는 영문도 모른 채 콜라보 당시 홍보용 문구로 넣어진 기능 3개 중 1개는 11개월간 게임에선 사용하지 못 했으며 그 11개월중 2개월은 콜라보 제품으로는 사용 못 하면서 다른 일부 제품으로는 사용이 가능한 진풍경이 벌어졌다는 거다. 거기에 다른 1개는 1년 넘게 사용하지 못 하고.] 아드레날린은 구글 플레이 게임즈나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은경우 클라이언트(Client-Win64-Shipping) 자체를 추가하거나 아드레날린에서 실행시키지 않는 이상 그래픽 API를 아예 인식하지 못하며[* 해당 없음도 아닌 공백으로 표시된다. 이런 경우는 게임에 튕김 현상이 발생하는 등 게임에 이상이 생기거나했을 때 주로 발생되며 해결법중 하나인 작업 관리자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N/A로 표시된다. Client-Win64-Shipping를 직접 추가하자니 Client-Win64-Shipping의 경우 언리얼 엔진 게임들에서 널리 사용하는지라 타 게임과 겹칠 수도 있다.] API를 가리는 AFMF 등의 기능도 사용 불가능하다.[* 지원을 하지 않는 게임이라도 수동으로 게임을 추가하면 어떤 방법으로 실행시키던지 그래픽 API를 제대로 인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0패치 이후에는 오히려 더 악화되어서 아드레날린으로 실행시켜도 그래픽 API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아드레날린 오버레이에 이상이 생기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그나마 에픽게임즈 런처를 통해서 설치한다면 아드레날린 관련 문제는 해결되며 스팀에 출시하면서 아드레날린 관련 문제는 사그라 들었다. 하지만 2.3 패치 이후로 정작 최신 그래픽카드인 RX 9000번대 제품들에서는 레이트레이싱이 미지원인 상황이다. 지원 예정이라고 공지는 했으나 이후 세 버전째 방치중인 상황이다.[* 물론 일부 언리얼 엔진 4에서 RX 9000 시리즈 GPU로 레이트레이싱을 활성화시 스타터링이 극심한 문제로 방치중인걸수도 있으나, 이 경우 경고문 출력후 RX 9000 GPU를 사용하는 유저들에게 선택지를 준다는것이 훨씬 더 공정하다.] PS5와 PS5 Pro에 들어가는 GPU도 RDNA2 기반인데 [[https://www.youtube.com/watch?v=vSWSaran-2A|PS5 플레이 영상]]을 보면 옵션에 FSR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FSR외에도 PC와 비교했을 때 게임내에서 조정 할 수 있는 요소들이 매우 적고 그래픽 설정뿐만 아니라 최적화 자체가 별로라는 평이 존재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기능으로 손맛이 좋은 [[듀얼센스]] 역시 완전 지원이 아닌 건지 진동 역시 평범한 수준이라 몰입감이 떨어진다는 평이 있다. * '''그래픽 설정 미지원''' DLSS 등 CBT에서도 사용 가능했던 각종 옵션들이 막혀있었으며, 이후 점진적으로 추가되었다. 전작에서도 있었던 HDR과 120프레임은 HDR의 경우 아예 미지원, 120프레임은 실제 성능이 어떻든지간에[* 예를들어 7500F는 라이젠 1700X와 인텔 10700K(F)를 멀티코어및 싱글코어 성능에서 큰폭으로 앞서는데, 7500F는 120프레임이 막혀있고 1700X와 10700K는 120프레임이 되는 상황이다.] RX 6750 GRE / RX 6700 XT 이상의 AMD GPU나 RTX 3060 이상의 엔비디아 GPU, 라이젠 7이나 i5 이상의 CPU를 둘다 사용해야 공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정확한 내용은 [[https://wutheringwaves.kurogames.com/en/main/news/detail/1190|링크]] 참고. * '''낮은 클라이언트 안정성''' 출시 초기부터 1년이 지나 2.4버전까지도 각종 안정성 문제가 두드러진다. 대표적으로 [ue4-client game 크래시가 생겨 닫힐 것입니다. Fatal error!] 오류가 있으며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나 OS 프로세스에도 영향을 주는 오류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물론 패치가 지속되면서 점차 조금씩 이나마 나아지는 추세이긴 하나 타 게임 대비 오버클럭/언더볼팅등에 더 민감한 편인 건 여전하기도 하다. 이는 전작인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에도 몇년 간 PC 버전이 없었다보니 경험 부족으로 인한 이슈로 취급되고 있다. 퍼니싱 PC판 또한 중국 서버와 글로벌 서버 정도가 2023년에 추가되었고, 나머지 서버는 명조보다 늦게 나왔다(...).[* 그나마 일본 서버가 명조보다 이틀 늦게 퍼니싱 PC클라가 출시되었다.] 여러모로 쿠로게임즈 자체가 PC 클라이언트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가 부족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